플래너를 다시 만들다

90년대 초, 고등학교 시절 부터

하드보드지와 한지로 시스템 다이어리 표지와 속지를 만들어

주변 지인들에게 선물하고는 했다.


사회에 나와서는 MS 아웃룩, 구글 등 다양한

스케쥴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.


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들을 사용해 봤지만

어느 것 하나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.


손으로 정리하는 것에 대한 미련이 남는다....


그래서 타블렛용으로 한번 만들어 보고

사용하기 괜찮다 싶어 공유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.

사용해 보시고 의견 부탁드립니다.

모든 일의 방식 (Plan - Do - See)

  • Plan: 현실과 이상의 차이(Gap)를 극복 하기 위한 목표 수립

  • Do: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치밀할 실행

  • See: 지속적인 점검으로 목표와 실행에 반영

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끊임 없는 개선 활동

플래너'스 플래너 작동 방식

일의 기본 방식인 P-D-S를 지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다.

  1. 목표를 수립한다.

  2. 이 일을 하는 목적에 대해서 정리 한다.

  3.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

  4. 수립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끊임 없이 관리하고 분석한다.

Planner's Planner Package

  • Planner's Planner: 자신의 사명의식 고취 / 일상 (연간, 월간, 일) 단위 PDS

  • Project Book (Frame + Work + Book): 프로젝트 단위 (업무, 연구, 학습 등) PDS

  • Daily (Schedule & To - Do ): 가장 최소 일정 PDS

  • Template (100여종 이상): 창의적인 발상과 분석을 돕는 도구 (Note + FrameWork)

Project Book (Frame + Work + Book)

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분석과 계획 수립이 동반된다.

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매번 기획을 할 때마다 막연함을 느끼게 된다.

이를 해결하기 위해 Frame+Work+Book을 고안하게 되었다.

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기획하는 일을 방법론이나 기술적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

이미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정리 노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.


  • Frame Work: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져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

  • Work Book: 연습장 수련장등의 의미로 익숙하지 않은 일을 쉽게 익힐 수 있게 하는 활동

① Question: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전에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질문 정리

② Objective Brief: 프로젝트의 목적과 도출하고자 하는 지표 정리

③ Process: 프로젝트 단계별 실행 계획 정리

④ Daily: 일별로 스케쥴, To-Do 리스트, 키워드 도출 등 정리

⑤ Note: 미팅, 메모, 일지 등 작성

⑥ Grid: 그리드 활용 그래프 도표 등 작성 스케치

⑦ Result Brief: 프로젝트 성과, 실패 및 착안 점 등 정리


& Templates

⑧ 경영, 마케팅, 개발, 컨설팅 등에서 많이 활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

업무의 필요에 따라 추가 개발 중

현재 130종이 넘는 템플릿 제공중입니다.

작성 방식

언제나 일을 시작 할 때 "Why? 왜?"라는 의문을 갖고 시작하자.

따지라는 것이 아니라 이 일을 왜 하는지 알고 시작 하라는 말이다.,

Step 1. Objective 작성

  • 나 자신에 대한 고찰과 평가를 통해 비전과 미션을 수립한다.

  • 비전: 나의 지향점, 되고 싶은 것

  • 미션: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해야 하는 것

  • 목표는 나의 지향점(비전)을 실현하기 위해 해야 할(미션)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과 위치를 설명하는 것이다.



Step 2. Key Result & 실행 계획 수립

  •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행 해야 하는 구체적인 실행항목인 핵심 결과 지표 작성

  • 학업, 업무, 건강, 가족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.



Step 3. 실행에 목표와 핵심 결과 지표를 항상 중심에 놓자

  • 학업, 업무, 역량 개발을 위한 모든 활동에서 목표와 핵심 결과 지표 달성을 중심에 놓자

  • 이 일을 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또는 효율적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에서 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한다.



Step 4.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 과정을 점검하자

  • 한번 결정한 목표와 핵심 결과 지표는 언제든지 수정 보완 할 수 있다.

  • 일정 계획이나 메모, 아이데이션을 할 때에도 항상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키워드를 도출하는 습관을 기르자


생각한 대로 행동하라 그렇지 않으면 행동한대로 생각하게 된다.

정답은 없습니다. 모두 각자의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. 플래너'스 플래너도 하나의 참고할 만한 방법이라 생각해 주세요

아직 방법을 찾지 못했다면 한번 시도해 보시고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서 더 나은 자신만의 방법을 찾으시기 바랍니다.


비즈니스 네트워킹